메뉴 건너뛰기

?

단축키

Prev이전 문서

Next다음 문서

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첨부

 

해설 (구모룡)

맑고 투명한 환상

-김선굉의 시세계

 

김선굉의 시는 우선 회화적이다이는 그가 다른이의 그림에 대한 시를 쓰고 있거나 미술평론을 하고 있다는 사실과 무관하지 않다그는 회화에 관한 남다른 재능을 지닌 것 같다이러한 회화적 재능은 시적재능과 겹쳐진다그래서인지그의 시들은 대체로 어떤 구도를 갖고 있는 것 같다그의 시가 지닌 구도는한편으로 감정의 절제와 관련되며 다른 한편으로 시적지성의 획득과 이어진다그의 시는 지성적인 태도를 보여준다그렇기 때문에 그의 시에서 감정의 직접적인 배설행위와 만나기가 어렵다.

 

반 조금 넘게 물을 채운 투명한 컵에

한 송이 장미가 꽃혀 있다.

그 장미빛 꽃잎은 넉장의 크고 작은 잎과

아홉 개의 독오른 가시를 거느리고

오디오 세트 위에서 혼자서 붉다.

저의 목이 길고 가늘다.

어떤 구도 속에 놓일 때

장미는 뿌리가 없어도 아름다울 수 있음을 느낀다.

내 눈이 그리로 가서 머문다.

나는 뜯어본다.

어느 부분이 가장 아름다운가.

컵인가줄기인가가시인가

짙은 녹색의 잎인가,

겹겹이 싸인 붉은 꽃잎인가.

그 판단은 늘 시간이 하고 있었던 것 같다.

붉은 빛이 엷게 도는

벽지의 연속무늬가 따뜻하게 뻗어나가는 배경으로

장미는 홀로 허리의 상처를 견디고 있다.

-실내전문

 

이 시는 김선굉 시의 회화적 경항을 매우 특징적으로 드러내고 있다오디오 세트 위반 넘게 물로 채워진 컵에 꽂혀 있는 한 송이 붉은 장미를 시적 대상으로 하면서 그는그것을 <어떤 구도〉 속에서 묘사한그리고 이러한 구도는 시적 감각과 겹쳐진다러한 겹쳐짐은 곧 공간의식에 시간의식이 더해지는 것이다시적 감각은 대상을 타자화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화하는 것이다그래서 이 시의 대상인 장미는 단순한 정물로 남지 않는다시인과의 정서적 교감에서 아름다움의 위계가 생기기 때문이다이러한 미적 위계는 다소 과장해 말할 때 시인의 전생애가 관여한 것이라고 할 수 있고 좁혀 말해 시인의 기억에 기인하는것이라고 할 수 있다어느 경우이든 경험적 시간 혹은 구체적 삶의 간섭을 반는다이러한 간섭작용에 의해 마지막 3행에서와 같은 상처>와 <아름다움>의 연관성이 만들어진다.

 

장미는 훌로 허리의 상처를 견디고 있다.

 

이 구절에서 시적 집약이 이루어지는데이는 <아름다움)과 <상처사이에 <견딤>이 매개되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여기서 회화적 시각은 시적 태도와 포개진시적 대도는 시인의 삶과의 연관성을 의미한다물론 회화가 화가의 삶과 무관하다는 것은 아니다러나 시인은 어떤 경우에 있어서도 자신의 삶을 감출 수 없는 것이다그래서 이 시에서 보이는 <아름다움>과 <상처>의 연관성은좀더 포괄적인 의미에서김선굉의 시학이 지닌 한 특징이라 해도 무방할 것이라생각한다.

 

상처는 아름답다.

시간은 상처 위에 오래 머문다.

-시간은 상처 위에 오래 머문다에서

 

이처럼 김선굉 시인의 시는 상처>를 <아름다움)로 변용하려는 지항을 지니고 있다그에게서 <상처)는 인간적 삶 그 자체에서 연유하는 것이라 할 수 있삶에 대한 그의 해석은 대체로 아픔슬픔상처 그리고 죄 등이다그는 삶에 대하여 회의주의적인 입장에 서 있다이러한 그의 입장에서 그는 삶 그 자체의 질곡을 시적 대상으로 삼지 않는다그보다 질곡의 삶으로부터 놓여나고 싶은 욕망을 보인다.

 

나는 너를 꿈꾼다.

찔레꽃 희게 핀 찔레숲 아래서 그 향기를 숨쉰다.

얼마나 오래 이 그늘에 서야

낡고 혜진 몸의 빈 푸대자루 가득

찔레 향기로 채울 수 있을까.

그 향기 뼈 속까지 스며

내 몸 향기로울 수 있을까.

추표 나이 30,

내가 몬 프라이드 디엠은 그때

그의 목숨을 노리고

정확히 급소를 향해 달려갔을까.

순천향병원 응급실에서

48시간만에 별 차도 없이 숨을 거두고 만 그는

찔레숲 아래 서 있는 나를 보고 있을까.

한 차례 바람이 불자

찔레의 길이 향기롭게 열린다.

그 길을 따라 그는 나를 향해 걸어오고 있다.

아니, 찔레숲을 향해 오고 있는 걸까.

내게로 전천히 다가오면서

찔레 향기로 희게 봄 바꾸는 그를 바라본다.

그는 쉽게 다가와

제 몸을 내 몸에 겹친다.

찔레 향기로 기화하는 나의 몸이여.

찔레꽃 아래서 니는 이제 너를 꿈꾼다.

살아서 향기로울 수도 있을 너를 꿈꾸는 거다.

「찔」 전문

 

이 시는 개인적 삶의 가장 고통스러웠던 기억을 말하고 있다그 기억은 구체적으로 시인이 교통사고의 가해자가 되어 한 젊음을 죽음으로 바꾸어놓은 〈납하기 어려운>(김천유감에서사건에 관한 것이다아마 시인의 생애에서 몇 안되는 가장 참혹한 경험일것이다이러한 경험은 육체를 지닌 인간의 삶 그것이 곧 질곡이라는 생각을 갖게 하기에 충분하다인간은 몸의 고통에 구속되어 있다상처와 죄의식으로 뒤엉킨 들은 낡고 헤진 빈 푸대자루>와 같다이렇듯 육체는 남루하다특히 불가해(T)한 죽음의 기억은 우리의 몸을그리고 삶을 더욱 초라하게 만든다그래서 죽음은 늘 삶의 허물을 벗긴다이것은 지혜로운 자가 잔치집보다 초상집을 더욱 즐겨 찾는 이유이기도 하다인용한 시에서 시인은 죽음의 경험과 관련된 몸의 고통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한다이것은 빈 몸에 영혼의 향기를 가득 채우는 일이다죽은 그가 <찔레 향기로 희게 몸 바꾸>어 나에게 다가오는 환상과 함께나 또한 찔레 향기로 기화>한다. 기화하는 몸이것은 삶과 죽음의 경계를 허무는 것이다그리하여 죽은 <>와 산 >가 만난다이러한 만남은 또한 <살아서 향기로울 수도 있을 너를 꿈꾸는 거다

 

이처럼 인용한 애도시( ) 찔레에서와 같이 <>은 고통스러운 삶에 대한 은유이다몸의 고통 /혼의 향기라는 이원대립은그러므로 육체의 구속으로 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인간적 삶에 대한 인식에서 비롯한다그래서 김선굉의 시에는 몸 /마음의 관계를 살피는 구절이 많다그리고 몸으로부터 가벼워지고 싶은 마음의 표현이 절실한 바 있다.

 

유월이 되자 장미는 조금씩 시들어가기 시작했다.

나는 담배를 줄일 생각을 하면서 또 한 대의 담배를 문다.

어디 괜찮은 꽃 피우는 게 장미뿐이라만

내 유월의 오후는 늘 장미 결에서 한참을 머문다.

독오른 가시들 삼엄히 창끝 세워도 장미는 시드는 것을,

아쉬운 마음의 뒤를 몸이 따른다.

아하몸이 마음의 뒤를 따랐던 것을

늘 몸이 마음의 뒤를 따랐던 것을 이제 안다.

-장미」 전문

 

마음이 낸 길을 몸이 따른다오늘 쏘여뀌풀 우거진 물가에서 챔꼼가 되니내가 걸어온 길들그 실날 끝 환히 보인다늘 마음이 앞섰으며 몸이 그 뒤를 따랐다그걸 환히 본옛날에는 아름답지도 아무렇지도 않았던 산의 능선들 물 속으로 거꾸로 쳐박히고그 풍경을 물은 실어나른다뒤엉켜 깊이 스며 아득히 흐르는우리는 그 마르지 않는 오르가즘의 자식들, H처럼 두 관 높이 쳐들고 으아아아 내지르는 고함소리 저 물길에 섞으면어 하늘로 떠오르는 몸뚱아리오늘은 몸이 낸 길을 마음이 따르고 있다.

-전문

 

A에서와 같이 몸이 마음을 따른다그러나 그 마음은 몸의 구속으로부터 풀려난 것이 아니다결국 <속의 마음>일 따름이다현실 속에서 우리는대체로 마음의 의지에 의해 몸이 움직여지는 것으로 아나 그 실상은 정반대인 경우가 많다의지라는 것도 결국 몸에서 비롯한 의지일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그렇기 때문에 몸으로부터 풀려난 마음의 진정한 자유는 B에서 처럼 몸 그 자체를 해체하는 데서 찾아져야 한다러한 해체는 투명하게 자신을 들여다보는 일에서 시작된다. <늘 마음이 앞섰으며 몸이 그 뒤를 따랐다>는 인식은 곧 마음과 몸의 현실적 관계에 대한 인식이다이러한 인식에서 이원적인 대립의 경계가 지워지는 계기가 마련된다그리고 생명 본래의 자발성에 동화될 길이 열린다이 때 <몸이 낸 길을 마음이 따르고 있>는 표현이 가능해지는 것이다.

 

김선굉 시인은 몸을 지닌 인간의 굴레로부터 시적 자유를 누리고자 한다이러한 그의 지향은 한편으로 마음에 대한 탐구로 나타나고 다른 한편으로 사람의 일이 아닌 것에는 아직 아름다운 게 많이 남아 있>(시간은 상처 위에 오래 머문다에서)는 구절에서

와 같이 인간적 삶을 배제하는 아름다움에 대한 추구로 나타난다물론 전자와 후자는 분리되지 않는다그의 시가 사물화나 비인간화를 미학적 목표로 하고있지 않기 때문이다그보다 마음의 정체나 그 심연을 보다 근원적인 차원과 관련시키고자 한다 따라서 마음에의 탐구는 시원(thil)의 유혹과 별개의 것이 아니다. 

 

별자리들혹은 별이 굿는 빛의 길들마음이 끌어당기는 무늬들그는 별의 약름을 화폭에 옮긴다오래 그 짓을 하다 이제 제 이름자도 별자리처럼 새겨넣을 줄 알게 되었다성좌들은 서로 끌어당기고 밀며 아득히 흐르다 어느 한 순간 또 되돌아선다유혹은 그 끌어당김의 이름그 이름끼리의 간절한 몸짓이다깊은 물의 속울음 같은그 깊은 소용돌이의 ??, 길게 내지르는 빛의 소리가 몇 억 광년의 시간을 건너 지금 그의 가슴에 쏟아지고 있다. 유혹-오세두, 1993」 전문

 

물론 이 시는 화가 오세두의 유혹이라는 그림에 대한 메타이다그러나 화가의 그림에 대한 해석은 전적으로 시인의 것이다시인은 이 시를 통하여 시원(til)의 유혹을 말하고자 한다여기서 유혹은 시인의 말을 빌리면 끌어당김의 이름그 이름끼리의 간절한 몸짓이다이러한 유혹은 <깊은 물의 속울음 같그 깊은 소용돌이의 슴환 길게 내지르는 빛의 소>를 듣게 한다이처럼 시인은 투명한 환상의 유혹에 사로잡힌다그 유혹은 삶의 비속성환멸성을 크게 하면서 미학적인 것의 가치를 드높인다그런데 이러한 가치에의 지향이바로 삶 그 자체를 무로 돌리는 것은 아니다산다는 것이 견덤 이상>(그대사하기를 빈다에서)이라는 시인의 생각에서 미학적 가치가 삶을 추동하는 힘으로 전화되고 있음을 알게된다따라서 시원의 유혹이 비인간화의 미학으로 귀결되지 않는다오히려 그보다 건강한 자연주의(동양적인 의미의!)로 나아가게 되는 것이다.

 

엷은 어둠이 숲 속으로 깃들고 있다늙은 나무들이 몸을 열어 마지막 낙조를 받아들인다잠시 #E을 켰다 천천히 사위어가는 숲왜 노을은 마음의 안으로 스며 상처를 비추는가저무는 물가에 서면 숲은 등 뒤에서 짐승처럼 몸을 웅크리고짙은 수목처럼 검은 향기 뿜어올려 사방에 뿌린다너른 해평의 들관에서 자라는 것은 무엇인가사람들이 지친 몸을 뉘고 깊이 잠들면 숲의 향기가 밤새 그들의 수고를 대신하리라발치서 또 한 채불 끄는 집 있다짐짓 그쪽으로 쏠렸다가 낮게 깔리는 향기여늙은 아카시아 밑둥에 몸 기대고 낮게 부르는 노래를 새들이 듣고 가지 옮기는 소리 고요하다-숲은 향기롭다」 전문

 

이처럼 숲의 향기는 마음의 상처와 노동의 피로를 감싼다비록 어둠 가운데 있으나생명의 자발성은 향기로운 것이다시인은 그 향기에 쏠리고 그 소리에 귀기울인다그리고 그들을 자기의 것으로 만든다기에서 몸과 마음의 대립 그리고 그 정처없음은 사라지고 놀라운 동화()의 세계가 펼쳐지게 되는 것이그런데 이러한 세계는 몸으로부터 도피하는 마음에서 형성되지 않는다그보다 몸과 함께 마음을 버리고 비우는 과정에서 만들어진다이 과정은 담배 피우는 97에서처럼 <푸른 연기로 세계와 이어지는> 것이라 할 수 있다그리고 이러한 과정은 마음의 상상이 만들어낸다몸은 마음이 만드는 상상에 의하여 한결 가벼워지고 마침내 그 기화하는 투명함이 될 수 있다물론 이러한 투명함은 시적 차원에 있다시인은 늘 깊은 숲으로 깊이 들어가면 나는 항상 숲의 밖에 서 있었다>(나는 숲의 밖에 서 있었다에서)는 낭패를 맛보기 때문이다그러나 <흰 빛>(빛은 희고 눈부시다에서), 반짝이는 녹색의 소리>(눈을 감으면 잎의 소리가 들인다에서), <청명>(오월에서). <희고 눈부신 비상>(괭이 갈매기에서), <순결과 적> (0에서에서등으로 표현되는 맑고 투명한 것의 환상은 시인을 사로잡고 있는 가장 큰 시적 유혹이라 할 수 있다그래서 그는 말한다 : <종교를 갖는 대신에 나는 푸른 하늘을 보겠다>(서시에서). (문학평론가한국해양대교수)